오늘은 위염에 대한 정보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한국인의 10명중 1명은 위염을 앓고 있다고 하니 평소 음식에 주의하셔서 위염 관리를 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위염 원인, 증상과 위염에 좋은 음식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드릴게요!
위염 원인
◾ 위염은 왜 생길까요?
대표적으로 과식이나 자극적인 음식 섭취, 불규칙적인 식사, 헬리코박터균 감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위염 증상
- 만성위염
- 급성위염
1. 만성위염은 위염이 6개월 이상 지속될때를 말합니다.
만성위염의 원인은 증상이 없거나 소화불량, 복부 팽만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위염과 위계양을 일으키는 헬리코박터균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그리고 맵고 짜게 먹는 식습관으로 세균이 감염되어 나타나는 만성적인 위염이 있습니다.
2. 급성위염은 맵고 짠 음식이나 갑작스러운 폭식, 폭음,야식 등으로 발생합니다.
급성위염 증상으로는 극심한 통증, 트름, 구역질, 신물 등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구토, 열 그리고 두통까지 동반하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 속이 답답하고 쓰린 신경성위염, 원인 알기 어렵다면?
위염에 좋은 음식
1. 양배추
양배추는 위염에 좋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음식 중 하나입니다. 양배추의 비타민U 성분은 위장벽을 튼튼하게 해주고 비타민K성분은 위출혈을 막고 복하도록 도와줍니다.
2. 연근
연근은 위 점막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연근에 들어있는 타닌 성분으로 염증을 가라앉도록 도와 줍니다.
3. 브로콜리
브로콜리도 비타민U성분이 위장벽을 튼튼하게 도와주며 위장질환의 큰 영향을 주는 헬리코박터균 제거에도 효과가 있어 위염 치료에 좋다고 합니다.
4. 마
마도 위염에 좋은 음식으로 유명한데요, 마의 끈적한 액체인 뮤신 성분이 위벽을 코팅하는 역할을 하여 위산분비를 억제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위염 외에도 위계양이나 위경련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5. 강황
강황은 염증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위염 또한 도움이 되며 위벽을 보호해주고 위염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카레에 강황이 들어가 있기때문에 카레섭취도 좋고 강황가루를 따로 챙겨 드셔도 됩니다.
6. 감자
감자는 위산 분비로 인해 발생한 궤양이나 점막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여 도움입니다.
7. 매실
체하거나 속이 쓰릴때 매실원액을 타서 먹으면 위산을 억제시켜 도움이 됩니다. 또한 소화를 촉진 시켜 위가 움직이도록 돕습니다.
8. 기타
그밖에도 사과,죽, 단호박, 무, 부추, 당근, 생강등의 음식도 위염에 좋습니다.
위염 예방
◾ 위염 예방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 규칙적인 식사를 합니다.
- 과식이나 폭식, 폭음은 피합니다.
- 식사할때 빨리 먹지 않고 천천히 씹어서 먹습니다.
- 맵거나 짠음식, 기름진 음식은 피합니다.
- 과도한 스트레스를 피하고 관리합니다.
- 탄산음료나 커피, 레몬이나 오렌지 같은 산이 많은 음료를 자제합니다.
갱년기 여성에게 좋은 식품 4가지
갱년기는 인체가 성숙기에서 노년기로 접어드는 시기이다. 대개 40~50대에 신체 기능이 저하되는데, 여성은 생식 기능이 없어지고 월경이 정지된다. 난소가 노화되어 기능이 떨어지면 배란 및 여
kokzoom.tistory.com
계절성 우울증에 도움되는 음식은?
계절성 우울증은 해가 짧아지고 영하의 날씨가 이어지는 겨울로 접어들면서 몸과 마음이 움츠러들게 될 때 빈번히 발생하게 됩니다. 겨울철에는 신체적 건강 관리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정신적
kokzoom.tistory.com
해독주스 효능과 만드는방법
해독주스 효능과 만드는 방법 알아볼게요! 살아가면서 많은 음식을 섭취하다 보면 우리 몸속에 배출되지 않은 독소가 몸에 쌓이게 됩니다. 몸에 많은 독소가 쌓이게 되면 원인 모를 질병과 각종
kokzoom.tistory.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꼭 먹어야 하는 10대 슈퍼푸드 (0) | 2022.02.02 |
---|---|
간에 좋은 음식 Vs 해로운 음식 (0) | 2022.01.25 |
아보카도 영양성분, 효능, 하루섭취량, 부작용 (0) | 2022.01.23 |
갱년기 여성에게 좋은 식품 4가지 (0) | 2022.01.19 |
피부건조 예방하는 겨울철 피부관리 방법 (0) | 2022.01.15 |
댓글